자바스크립트 재활훈련 1편
한동안 이론공부를 좀 많이 하였고 Python3를 주로 사용해서 , JS의 문법이 익숙하지 않아져버렸습니다.. ㅠ const , let, while, for , array 활용 등 유용하고 내가 자주 썻던걸 정리할 예정입니다.
빠르게 짚고 넘어가는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글입니다.
JavaScript는 "사용자, 서버" 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처리한다.
- 온라인쇼핑몰 : 판매 중인 상품의 정보,이미지, 고객의 장바구니 정보,위시리스트 등
- 채팅: 사용자의 정보, 메세지 ,이모티콘 등
변수
-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저장공간
- 자세하게 들어가면, 메모리 공간의 일정공간을 할당해서 labeling 시키는건데, 복잡하게 들어가면 끝도 없으니 이정도만 하자.
- 당연히, 똑같은 이름으로 다른공간을 할당할 수 없다. == 변수명을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다.
- JavaScript에서는 CammelCase를 기본으로 작성한다. DOM 객체를 지정할 때는 $를 앞에 붙일거임.
let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변수공간이다. 특이하게 , string,Int,float 등 C언어와 같이 선언시에 데이터 타입을 정해주지 않는다.
let name="Mapin"
let age=24
let state="good"
let Ismale=true
- 연속적으로 선언이 가능해진다. 위와 기술적인 차이가 없으니까, 취향차이이다.
let name="Mapin",
age=24,
state="good";
- 당연히, 내부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let name="mapin"
name="ImNotMapin"
console.log(name)
상수
- 변수와 같이 ,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지만, 한 번 선언하면 변경할 수 없다.
- 당연히, 똑같은 이름으로 다른공간을 할당할 수 없다. == 변수명을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다.
- 하지만, 상수로 선언된 객체의 내부 데이터는 변경이 가능하다. (이것도 , 메모리공간에 대한 이해와 어셈블리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이해가 빡!되지만, 당장 이해안간다면 넘어가자)
- 물론 , JavaScript 엔진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기 때문에, 아래의 그림이 맞지 않을 수도 있음 !
Const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 Const 이름 = 값
let number =5
number= 8
//This is Work!
const arr=[1,2,3,4,5]
// This code is not work!
//arr = [1,2,3,4,5,6,7,8]
//This code is work!
arr[0] = 5
Var
- 고대 선조들이 사용하면 변수, 중복선언이 가능하다. (?)
- var이라는게 보이면 당황하지 말고, 아 "변수구나"라고 생각하자.
* 특이한 자료형
- Undefined : 말 그대로, 정해지지 않음. 선언시에 자동으로 할당되고, 함수 return 의 default값
- NaN : Not a Number , 나온값이 숫자가 아니라는 뜻이다. 보통, 숫자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중간에 문자열과 같은 숫자가 아닌 친구가 섞였을 때 발생하는 값이다.
- Null : 프로그래머가 의도적으로 값을 비워두는 자료형.
'Web 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Basic/TDD,BDD] 자바스크립트 테스팅 연습 (0) | 2022.07.27 |
---|---|
[JS/Basic/함수] 자바스크립트 함수 (0) | 2022.07.26 |
[JS/Basic/문법/반복문] 자바스크립트 반복문 (0) | 2022.07.26 |
[JS/Basic/문법/연산자,조건문]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조건문 (0) | 2022.07.25 |
[JS/Basic/문법/입출력] 자바스크립트 입출력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