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문제(SOL)

[백준/14891/파이썬] 톱니바퀴

https://www.acmicpc.net/problem/14891

 

14891번: 톱니바퀴

총 8개의 톱니를 가지고 있는 톱니바퀴 4개가 아래 그림과 같이 일렬로 놓여져 있다. 또, 톱니는 N극 또는 S극 중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톱니바퀴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는데, 가장 왼쪽 톱니바퀴

www.acmicpc.net

Problem

  • 총 8개의 톱니를 가지고 있는 톱니바퀴 4개가 아래 그림과 같이 일렬로 놓여져 있다. 또, 톱니는 N극 또는 S극 중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톱니바퀴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는데, 가장 왼쪽 톱니바퀴가 1번, 그 오른쪽은 2번, 그 오른쪽은 3번, 가장 오른쪽 톱니바퀴는 4번이다.
  • 이때, 톱니바퀴를 총 K번 회전시키려고 한다. 톱니바퀴의 회전은 한 칸을 기준으로 한다. 회전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이 있다.
  • 톱니바퀴의 초기 상태와 톱니바퀴를 회전시킨 방법이 주어졌을 때, 최종 톱니바퀴의 상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조건

  • 톱니바퀴 A를 회전할 때, 그 옆에 있는 톱니바퀴 B와 서로 맞닿은 톱니의 극이 다르다면, B는 A가 회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 첫째 줄에 1번 톱니바퀴의 상태, 둘째 줄에 2번 톱니바퀴의 상태, 셋째 줄에 3번 톱니바퀴의 상태, 넷째 줄에 4번 톱니바퀴의 상태가 주어진다. 상태는 8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고, 12시방향부터 시계방향 순서대로 주어진다. N극은 0, S극은 1로 나타나있다.
  • 다섯째 줄에는 회전 횟수 K(1 ≤ K ≤ 100)가 주어진다. 다음 K개 줄에는 회전시킨 방법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각 방법은 두 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고, 첫 번째 정수는 회전시킨 톱니바퀴의 번호, 두 번째 정수는 방향이다. 방향이 1인 경우는 시계 방향이고, -1인 경우는 반시계 방향이다.

총 K번 회전시킨 이후에 네 톱니바퀴의 점수의 합을 출력한다. 점수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1번 톱니바퀴의 12시방향이 N극이면 0점, S극이면 1점
  • 2번 톱니바퀴의 12시방향이 N극이면 0점, S극이면 2점
  • 3번 톱니바퀴의 12시방향이 N극이면 0점, S극이면 4점
  • 4번 톱니바퀴의 12시방향이 N극이면 0점, S극이면 8점

SOL

굉장히 쉬운 문제처럼 보이지만, 막상 구현하다보면 헷갈리기가 쉬운 문제이다.

톱니바퀴를 돌릴 때, target 톱니바퀴와, direction을 입력 받으면, target 톱니바퀴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을 check 해준다.

 

Trouble Shooting!!

 

기어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선형적으로 반복하지 않는 문제

무슨 말이냐면, Target 기어 왼쪽/오른쪽을 체크할 때, 왼쪽이 돌아가게 되면, 왼쪽의 왼쪽도 체크해줘야한다.

즉, 기어가 돌아가냐/안돌아가냐에 따라서 반복문을 더 도냐 /돌지 않냐가 정해진다. 문제를 풀 때,이 조건을 어떻게 구현해줄지가 많이 고민되었고 시간을 많이 잡아먹게 되었음, 답은 엄청 허탈했다.

 

해결 : target에서 왼쪽,오른쪽을 체크해줄 때, 그 기어가 돌아가지 않는다면, 바로 break문으로 탈출해주면 되는거였다.. 

(막 gear를 idx에 담아서 돌아가는거 체크해주고~ 막 했는데, 생각해보니 break를 바로 걸면, moved_gear에 담길일이 없었음..)

 

Direction이 반대로 작용하는 문제 ( 입력받은 값은 보존 시켜줘야함 )

톱니바퀴 A가 반시계방향으로 돈다면, 톱니바퀴 B랑 맞물려있는 극이 다를 때, 톱니바퀴 B는 시계방향으로 돌게된다.

즉, direction 이 * -1을 해줘야한다. 이때, 처음에 실수했던게, 입력받은 direction을 그대로 바꿔서, 왼쪽방향을 검사할 때,시작 direction이 바뀌는 문제가 생겼다. 그래서, tmp_direction을 하나 선언해줘서, 임시값으로 반영해줬음.

#톱니바퀴 ~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sys.stdin.readline

Gears=[deque(list(map(int,input().rstrip()))) for _ in range(4)]
K=int(input().rstrip())

#print(Gears)

for _ in range(K):
    target,direction=map(int,input().split())
    target-=1
    moved_gears=[(target,direction)]
    tmp_dir=direction
    for i in range(target,3):
        #print("Gears[i][2]:{},Gears[i+1][-2]:{}".format(Gears[i][2],Gears[i+1][-2]))
        if Gears[i][2] != Gears[i+1][6]:
            moved_gears.append((i+1,tmp_dir*-1))
            tmp_dir *=-1
        else:
            #같다면, 톱니바퀴는 회전하지 않는다.
            break
    tmp_dir=direction
    for i in range(target,0,-1):
        if Gears[i][6] != Gears[i-1][2]:
            moved_gears.append((i-1,tmp_dir*-1))
            tmp_dir *=-1
        else:
            break
    #print(moved_gears)
    # 1: 시계방향, -1:반시계방향 
    for t,d in moved_gears:
        Gears[t].rotate(d)
    #print(Gears)

score=0
for i in range(4):
    if Gears[i][0]==1:
        score+=2**i
print(score)